정기보험 문의입니다...
정기보험 관련 문의입니다.
몇달전에 가입한건데(남, 만 29세) L생명보험사에 10년만기 갱신형 80세까지 보장이구요.
월 보험료는 14,850원으로 납부중이에요. 60세까지만 유지하고 해지할 생각인데요. 갱신형이라 좀 맘에 걸리긴 해요. 어떤 분들은 정기보험은 갱신형이 더 낫다고 하셔서..
삼*쪽에 알아보니 36000원 월 보험료 20년 납에 60세까지 보장이더라구요. 이게 더 낫지않나 싶어서 변경할까 생각중인데.. 다른 님들 조언을 구합니다.
보장내용은 사망시 1억원, 고도장해특약 5천만원 인데요.
L보험사에 이미 가입한 곳은 천재지변,재해,상해,일반 사망 등 범위과 넓은게 장점인데 갱신형이라는 것..
삼*보험사는 위의 3개 보장이 다되는지는 잘 모르겠고..여튼 장점은 비갱신형이라는 것...
조언 많이.. 좀 부탁드려요..!
답변
안녕하세요. 보험이 '쉬운남자' 김민성입니다.
먼저 삼*쪽에 알아보셨다는 건 당연히 삼*생명이시겠죠?
화재보험에서의 사망보험의 경우 질병사망, 상해사망과 같이
특정한 원인으로한 사망보장금을 보장하지만 생명보험사에 준비하셨다면
대부분의 보장 범위가 동일 합니다.
그러므로 보장의 범위에 대해서는 크게 걱정 안하셔도 될 듯 합니다.
그렇다면 이제 문제는 갱신형과 비갱신형인데 이 둘의 차이점은
갱신형 : 일정 주기 마다 보험료가 변동이 되며 보장을 받는 만기시까지 보험료를 납부
비갱신형 : 동일한 보험료를 정해진 기간까지 납부한 뒤 만기시까지 보장 입니다.
나라에서 발표한 연간 물가상승률 4%를 적용했을때 (실 물제 상승률은 6~7% 선)
10년 간의 물가상승률은 48% 정도가 됩니다.
이를 갱신시 보험료 상승에 적용해 보자면
(갱신시 물가상승률에 따라 보험료가 오른다고 확정할 수는 없지만 예를 들기 위해서 적용하였습니다.)
L생명 갱신형 : 초기 10년 => 14,850원 x 24개월 x 10년 = 3,564,000원
갱신 1차 => 14,850원 x 1.48 x 24개월 x 10년 = 5,274,720원
갱신2차 =>14,850원 x 1.48 x 1.48 x 24개월 x 10년 = 7,806,585원
갱신 3차 => 14,850원 x 1.48x 1.48 x 1.48 x24개월 x 1년= 1,155,374원
총 17,800,679 원
삼*생명 비갱신형 : 36,000원 x 24개월 x 20년 = 총 17,280,000원
갱신형과 비 갱신형의 차이가 총 보험료 500만 정도 밖에 차이가 안나네요.
물가상승률만을 이용하여 갱신과 비갱신형을 비교하는 것 자체가 오류지만
질문자님께서는 위의 예시를 보고 어떤 생각을 하셨나요?
갱신형과 비갱신형은 분명 장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확정적인 보험료를 납부하는 비갱신형과
전체 보험료를 얼마 납부할지 보험회사에게 결정권을 주는 갱신형
보험업을 하는 저는 공개적인 장소에서 어느쪽을 선택하라고 확답을 드리기가 어렵네요.
앞으로 30년이 넘는 시간동안 보장 받으셔야 하는 보험인 만큼
곰곰히 생각해 보시고 걸졍하시길 바랍니다.
제 네임카드를 참고하시면
제가 운영하는 카페 및 공식추천상담사로 활동하고 있는
카페 링크가 있으니 추가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방문 바랍니다.^^
*주말을 이용해 나들이 중 답변 드리는 내용이라 어설프고 부족해도 양해 부탁드려요.*
No.1 재테크 커뮤니티 : 알뜰남 살뜰녀의 씐나는 어우러짐 [재테크 뽀개기]
(주)지니어스 '쉬운남자' 김민성
H.P : 010-9747-4168
카카오톡 : duncekkw
Nate-on : duncekkw@nate.com
운영 Cafe : http://cafe.naver.com/ifczzang
이투데이 경제신문 기사 : http://2url.kr/hku
'보험상담Q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이에 따른 보험료 (0) | 2012.12.06 |
---|---|
암보험과 2대질병보험 소멸형이 좋은가요? 환급형이 좋은가요? (0) | 2012.11.27 |
종신보험 적용에 대해서..!! 답변좀 꼭이요!!! (0) | 2012.11.22 |
제 경우, 고지위반인가요? (0) | 2012.11.22 |
두개의 종신보험중 어떤 것을 해약해야 할까요? (0) | 2012.11.22 |